본문 바로가기

고양이의 생활[4편] 암고양이는 주기적으로 발정을 하는데, 만일 발정할 동안에 교미를 하지 못하면 다음 발정은 더 빨리 오게 된다.대체로 이 같은 발정은 암고양이가 임신을 하기 전까지 계속된다.발정은 1년에 몇 번 있으며 3~15일간 계속된다.임신 기간은 약 9주일이며.한배에 3~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갓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보통 약 100g이다.어미는 새끼들을 핥아 새끼의 몸을 말리고 호흡과 다른 생체 기능을 자극한다. 건강한 새끼 고양이는 태어난 지 10~14일이면 눈을 뜨고 이어 귀가 들리게 되며,첫 이빨이 난다. 약 3주 정도면 겉게 되고, 주위를 눈여겨보며 환경에 익숙해진다.4주면 모든 이가 나고 6주 정도면 완전하게 성숙하여 어미의 보살핌 없이 혼자 살아가게 된다. 고양이는 소리,몸짓,냄새 등을 통한 다양한 방법.. 더보기
고양이 습성[3편] 습성 사회성 무리 생활을 하지는 않지만 자신본다 높은 서열의 ㅣ고양이의 식사 순서를 지키는 등 서열 의식이 갖춰져 있다.고양이 울음소리의 사회적 역할은 침입자에 대한 것과 나머지 세 가지 소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코로 내는 가르랑 소리는 고양이 간의 인사 혹은 다치거나 아픈 고양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표현하는 것이당.또한 비음을 섞은 떨림 소리는 인사를 위한 것이다. 천천히 다가오며 '야옹'과 같이 입을 열며 내는 울음소리는 종류가 많은데,주로 다른 고양이나,개와 인간같은 다른 동물과의 인사내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상황에서 내는 것이다.입을 열면서 내는 소리,'하-악'이나 으르렁거림은 주로 고양이의 공격성과 관련된다. 사람,가축,다른 반려동물과의 가까운 곳에서의 생활은 고양이가 점차로 공생을 할 .. 더보기
고양이 먹이와 식이[2편] 먹이와 식이 고양이는 곤충,새,설치류와 같은 작은 동물을 먹는다. 길고양이나 자율급식을 하는 집고양이는 하루에 8번에서 16번 식사를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묘의 경우 하루에 한번 급식에 적을할 수 있다.고양이는 전형적인 육식동물로 생리작용이 고기를 소화시키는 데 최적화되어 있으며,식물을 소화시키는 능력은 제한적이다. 고양이는 타우린과 아르기닌(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들을 스스로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살코기로부터 얻어야 한다,따라서 고양이는 생존하기 우해서 반드시 고기를 먹어야 한다.고양이의 이빨과 마찬가지로 소화관도 육식에 최적화되어 있으며,길이가 짧은 고양이의 장은 고기에서 얻어지는 단백질과 지방을 최대한 빨리 분해할 수 있다.이러한 특징은 특정한 지방산뿐 아니라 식물성 음식을 흡수하거나 소화하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