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들 눈을 통해서 보는 동물세계 알아보기(반려동물은 사랑입니다)

고양이 습성[3편]

습성


사회성

무리 생활을 하지는 않지만 자신본다 높은 서열의 ㅣ고양이의 식사 순서를 지키는 등 서열 의식이 갖춰져 있다.고양이 울음소리의 사회적 역할은 침입자에 대한 것과 나머지 세 가지 소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코로 내는 가르랑 소리는 고양이 간의 인사 혹은 다치거나 아픈 고양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표현하는 것이당.또한 비음을 섞은 떨림 소리는 인사를 위한 것이다. 천천히 다가오며 '야옹'과 같이 입을 열며 내는 울음소리는 종류가 많은데,주로 다른 고양이나,개와 인간같은 다른 동물과의 인사내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상황에서 내는 것이다.입을 열면서 내는 소리,'하-악'이나 으르렁거림은 주로 고양이의 공격성과 관련된다.


사람,가축,다른 반려동물과의 가까운 곳에서의 생활은 고양이가 점차로 공생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적응이 되게 하였으며,그럼으로써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애정표현을 잘 하게 되었던 것 같다.동물행동학에서는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사람은 고양이에게 마치 어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고 한다.또한 집에서 자란 어른 고양이는 마치 새끼고양이 시절의 연장인 것처럼 행동한다.이것을 행동적 유형성숙이라고 한다.집고양이가 배고픈 어린아이의 우는 소리를 모방해서 먹이를 달라고 높은 소리로 조르면,특히나 사람에게는 거부하기가 힘들다.




싸움

집고양이의 경우 암컷보다는 수컷이 더 자주 싸운다.길고양이의 경우에는 한마리의 암컷을 두고 두마리의 수컷이 싸우는 경우가 많당.이런경우 대개는 더 무거운 고양이가 승리하게 마련이다.집고양이의 또 다른 싸움의 원인으로는 좁은 집에서 같이 살아서 자신의 영역을 만들기가 어려울떄이다.암컷 고양이또한 영역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중성화는 이러한 싸움을 줄이거나 심지어 없앤다.아마도 그 원인은 성호르몬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냥과 먹이

고양이는 작은 동물 즉,새나 설치류를 사냥하며,사람들은 해충을 없애기 위해 자주 고양이를 이용한다.집고양이는 야생에서 주요 포식자이며,미국에서는 연간 14억~37억 마리의 새와69억~207억 마리의 포유류를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규모는 약 8천만 마리의 길고양이에 의해서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효과적인 감소방법은 아직 어려운데,고양이 애호가들의 반대가 있기 때문이다.자유롭게 다니는 고양이에게는 방울을 달아주거나 밤중의 외출금지로써 야생동물 사냥을 막을 수 있다.그러나,한국에서는 이미 많은 야생동물이 멸종하고 도시화 정도가 높기 때문에,미국만큼 야생동물 피해의 문제가 심각하지는 않다.



번식

암컷 고양이는 하나의 자궁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발정을 자주하는 편이다.초봄에서 늦가을 사이에 발정을 한다.발정은 2주에 한번 주기로 약 4일에서 약 7일간 한다.또한 임신 중에 발정이 나는 경우도 종종 있는 일이다.한번에 많게는 6마리,적게는 한두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위생

고양이의 혀에는 목구멍쪽을 향해 고리처럼 뻗은 케라틴을 함유한 유두돌기가 있다.고양이는 이 케라틴 돌기와 침으로 털을 핥아 스스로를 단장한다.또한 많은 고양이들은 다른 고양이나 사람을 단장해 주기도 하는데 고양이들은 종종 집단의 서열 상에서 우위에 있음을 주장하기 위해 다른 고양이를 핥아 단장해 주기도 한다.

어떤 고양이들은 때때로 이러한 몸단장으로 인하여 위장에 쌓인 털 뭉치를 토해내기도 한다.이러한 헤어볼은 특정 고양이 사료나 털제거를 돕는 약,그리고 빗이나 브러시로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줌으로써 예방될 수 있다.그러나 일각에선 헤어보 사료에 첨가된 식이섬육 수분을 흡수해서 고양이의 수분 섭취량을 줄여 점진적인 신장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높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

고양이들은 다른고양이과 동물들처럼 높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는데.그 습성 때문에 물건을 떨어트리는 사고를 가끔씩 일으킨다.그래서 고양이의 습성에 알맞은 장난감은 캣 타워이다.


출처:[위키백과]에서 가져왔습니다.